건강정보는 아이콜리

잠은 우리 삶의 질과 직결되는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잘 잤다~' 하고 개운하게 일어나는 아침만큼 활기찬 하루를 위한 에너지를 충전하는 시간도 없죠.


특히 지치기 쉬운 여름철에는 후텁지근한 날씨와 열대야 때문에 잠 못 이루는 분들이 많아 수면의 질이 떨어지기 쉽습니다.

수면의 질이 나빠지면 하루 종일 피곤하고, 불면증이나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같은 문제가 있다면 더욱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심지어 낮에 충분히 잤다고 생각해도 피로감을 느끼거나 과도하게 졸린 주간졸림증을 겪는 경우도 있고요. 이렇게 잠이 부족하면 만성피로, 권태감은 물론 작업이나 학습 능률 저하, 두통, 우울감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 뇌가 휴식을 취하는 시간이 부족하면 기억력이나 집중력도 떨어질 수 있다고 해요.


그렇다면 좋은 수면을 위해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까요?


수면 문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해요.

만약 잠에 대한 어려움이 지속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불면증은 전체 인구의 20~30%가 겪을 정도로 흔하며, 나이가 많거나 여성일수록 발생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이나 하지불안증후군, 렘수면장애 같은 신체적인 문제로 인해 불면증이 생길 수도 있고, 우울이나 불안 같은 정서적인 문제가 동반되는 경우도 많거든요.


수면다원검사는 수면의 질을 파악하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검사입니다. 하룻밤 동안 뇌파, 호흡, 산소포화도, 심전도, 근전도 등을 측정해 수면 중 무호흡이나 저호흡이 시간당 몇 회 발생하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그 외에도 면담, 정신 상태 검사, 심리 검사, 코나 해부학적 이상 검사 등을 통해 원인을 정확히 감별하게 됩니다.


다양한 치료 방법을 고려할 수 있어요.

원인에 따라 다양한 치료법이 있습니다.


약물 치료: 단기적으로 수면 유도를 돕는 수면제나 신경안정제를 처방하기도 하고, 우울이나 불안 같은 근본적인 정서 문제를 치료하기 위해 항우울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의료 장치 및 수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경우, 상기도 양압기 치료법이나 구강 내 장치(턱을 약간 앞으로 내밀어 기도 공간을 넓히는 장치)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수술적인 방법으로는 좁아진 부위를 넓히는 코수술, 인두확장술, 편도적출술, 혀축소술, 하악전진술 등이 있습니다. 특히 턱이 작거나 뒤로 들어간 경우 상하악전진술이나 이설근 전진술을 통해 기도 공간을 넓히는 수술을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약물 치료 및 생활 습관 교정:

인지행동치료는 수면에 대한 잘못된 인지를 교정하고, 생활습관 수정, 수면 위생 관리, 수면 일지 작성 등을 포함합니다.

불면증이 심각한 질병이 아니라는 것을 인지하고, '잠이 안 오면 어쩌지?'와 같은 불안감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 세브란스병원 [링크]

댓글 0
답글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