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는 아이콜리

​뇌동맥류의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자

뇌동맥류 치료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뇌동맥류가 터지는 것을 막아서 뇌출혈을 예방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만약 뇌동맥류가 파열되면 환자의 약 30%는 출혈과 동시에 사망하게 되고,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에서도 절반 가량은 심각한 장애를 갖게 된다고 하니, 정말 무서운 질환이죠.

클립결찰술 (개두술)

이건 뇌동맥류 치료의 가장 전통적인 방법이에요. 머리뼈를 열고(개두술) 문제가 생긴 뇌동맥류 부분으로 직접 접근해서, 마치 조그만 금속 집게(클립)로 꽈리처럼 부풀어 오른 혈관의 목 부분을 물어놓는 수술법입니다.

코일색전술 (혈관 내 수술법)

이 방법은 머리를 열지 않고 혈관 안으로 들어가서 치료하는 방식입니다. 최근에는 이 방법이 더 보편화되고 있다고 해요. 전신 마취를 한 상태에서 주로 허벅지 부위 피부를 조금 절개한 후, 대퇴동맥을 통해 얇은 관(카테터)을 뇌혈관까지 밀어 올립니다. 그리고 그 관을 통해 아주 미세한 금속 코일을 뇌동맥류 꽈리 안에 가득 채워 넣어서 피가 동맥류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게 막아 파열을 방지하는 수술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코일과 함께 스텐트를 사용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 두 가지 치료법이 모든 환자에게 무조건 가능한 것은 아니라고 해요. 어떤 방법으로 치료할지는 신경외과 의사가 환자분의 전반적인 상태, 그리고 뇌동맥류가 **어디에 생겼는지(위치), 어떤 모양인지(형태), 몇 개인지(개수), 그리고 크기는 어떤지** 등을 종합적으로 carefully 검토해서 가장 가능하거나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방법을 선택하게 됩니다. 때로는 이 두 가지 방법을 같이 사용해서 더 안전하고 완벽하게 치료하기도 한다고 하네요.


특히 중요한 점은 뇌동맥류가 이미 파열된 상태라면 최대한 빨리 치료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치료가 늦어지면 다시 출혈이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이죠.


반대로 아직 터지지 않은 "비파열성 뇌동맥류인데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파열될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바로 치료하기보다는 경과를 지켜보기도 한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뇌동맥류는 터지기 전에 발견해서 치료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합니다. 치료 방법도 많이 발달해서 비파열성 뇌동맥류는 치료 후 비교적 좋은 예후를 보인다고 하니, 혹시라도 진단받으셨다면 너무 걱정만 하기보다는 전문가의 가이드에 따라 적절한 관리나 치료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출처 : 뇌동맥류 | 아산병원

댓글 0
답글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