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는 아이콜리

​안녕하세요~ 여러분!!

​“비관주의자는 어떤 기회 속에서도 어려움을 보고, 낙관주의자는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기회를 본다”

라는 어록을 남긴 분이 누군지 아시는 분?

바로 윈스턴 처칠입니다.

위의 글이 첫 페이지를 장식하는 책을 오늘 한번 소개해 드리려고 해요.

책의 이름은 바로 ‘프레임’!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최인철 교수님이 저자인 베스트셀러 책이죠. 벌써 1판 이후 약 20년 가까이 지났지만 여전히 5판까지 나온 유명한 저서입니다.


프레임이라는 단어는 심리학에서 ‘세상을 보는 눈’이라고 합니다. 윈스턴 처칠의 말처럼, 어떻게 세상을 바라보느냐에 따라서 사상, 행동, 결과까지 모두 이어지겠죠.

​몸을 만들고, 건강을 챙기는데 있어서도 이러한 세상의 눈을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한 동기부여, 그리고 포기하지 않는 힘을 주는 것 같아요.


제가 이전 신문에 컬럼 기고를 요청받고 썼던 글에서도 프레임의 글을 인용한 적이 있습니다.

‘사람은 자신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타인의 힘에 대해서는 매우 민감하지만, 정작 타인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자신의 큰 힘에 대해서는 둔감하다’라고요.

즉, 그만큼 나의 세상을 바라보는 눈이 타인에게 쏠려있지만, 정작 그 의식하는 타인의 행동과 말은 대부분 내 자신의 행동과 영향력에서 나온다는 의미입니다.

매우 철학적이고 또한, 20여년 동안 최 교수님의 수정, 보완으로 세상 눈높이에 맞춰 진화(?)하는 도서를 꼭 추천드리고 싶네요.


저는 매월 3권 정도의 책을 읽습니다. 책을 읽는 방법은 이전 김봉진 배달의민족 의장님이 쓴 책 잘 읽는 방법을 읽고 시작했는데요. 늘 새로운 책만 읽지 않고, 읽었던 책을 다시 읽기도 합니다. 이유는, 20대의 내가 읽었던 깊이와 그리고 바라보는 프레임이 현재 나와는 사뭇 다르기 때문이죠.


행동하는데, 그리고 판단하는데 맥락이 중요하듯,

그 책을 읽고 느끼는 상황과 결과에도 맥락 즉 그 시대의 상황이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이번주에 프레임이라는 책을 다시 짚어들었습니다. (제가 읽고 바로 알라딘에 판매하지 않는 몇권안되는 30권 정도 책 목록 안에 포함되는 소중한 도서입니다.)


긍정적인 자세가 얼마나 중요한지, 이러한 태도가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정신적 신체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지, 그 프레임을 스스로 생각해보는 기회를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다음 글에는 프레임 도서에 대해서 요약본을 간략하게 정리해서 소개드릴께요.




댓글 0
답글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