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는 아이콜리

폐암이 의심되는 경우, 최종 진단까지 다양한 검사들을 거치게 됩니다.

사실 진단을 기다리는 환자도 걱정이지만, 환자를 함께 돌봐야하는 가족들의 정신적인 충격, 슬픔 또한 이루 말할 수 없습니다. 폐암 검사와 진단을 위한 종류와 과정을 알아보면서, 미리 마음의 준비를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해요.

저희 가족들의 경우,

너무 갑작스럽게 어머니의 폐암 진단을 알고 나서 아래 검사를 어떻게 받았는지 모를 정도로 제 정신이 아닌 상태에서 받았었는데 미리알고 준비한다면

​온전히 환자분께 집중하고 케어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폐암 검사 방법 및 진단 과정

1. 폐암 진단을 위한 검사

1) 흉부 X-선 검사

폐암 진단의 첫 단계로 시행되며, 폐에 혹(결절)이 있는지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그러나 종양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발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정밀한 진단을 위해 CT 촬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흉부 전산화단층촬영(CT)

고해상도의 CT 스캔을 통해 폐 내부 및 주변 림프절 상태를 상세하게 확인합니다. 폐암의 원발 부위와 병의 진행 정도를 판단하는 데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3) 객담 세포진 검사

가래에 섞인 암세포를 검사하여 폐암을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초기 폐암의 경우 암세포 검출률이 낮아 단독 검사보다는 다른 진단법과 함께 시행됩니다.

4) 기관지내시경 검사

내시경을 기관지 내부로 삽입하여 직접 종양을 관찰하고 조직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입니다. 종양이 기관지 내부에 위치한 경우 유용하며, 침범 정도를 평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5) 경피적 세침흡인검사

피부를 통해 가는 바늘을 직접 종양에 삽입하여 조직을 채취하는 검사입니다. 폐암이 기관지에서 멀리 떨어진 부위에 위치할 경우 CT 유도 하에 시행됩니다.

2. 병기 판정을 위한 추가 검사

정확한 폐암 진단과 병기 판정은 다양한 검사 방법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며, 조기 발견이 중요한 만큼 정기 검진이 필요합니다.

1) 전신 양전자단층촬영(PET-CT)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해 암세포의 대사 활동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폐암의 원격 전이 여부와 중격 림프절 전이를 평가하는 데 유용합니다.

2) 전신 뼈 스캔

방사성 동위원소를 활용해 폐암이 뼈로 전이되었는지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그러나 염증성 질환과 감별이 필요할 수 있어 신중한 해석이 필요합니다.

3) 뇌 자기공명영상(MRI)

폐암 환자 중 최근 성격 변화, 기억력 저하, 두통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뇌 전이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4) 수면초음파 기관지내시경(EBUS)

기관지 주변의 림프절을 관찰하고 조직을 채취하는 검사로, 암의 진행 정도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5) 흉강경 검사

폐암의 전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가슴 부위에 내시경을 삽입하여 폐나 림프절 조직을 직접 채취하는 검사입니다.

저희 어머니는 조직검사도 그리고 수술도 모두 흉강경 검사를 통해서 진행했어요.

​요즘은 개복이 아닌 흉강으로 수술하기에 회복도 빠르게 되고, 환자 분들이 수술 후 정신적 충격에서의 회복도 빠릅니다.

댓글 0
답글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