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는 아이콜리

예방접종! 하면,

마치 어린이, 또는 유아기 때에 집중된 건강 관리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실제 성인기에 더 중요해지는 주요한 접종 리스트, 백신이 있다고 해서 정리해 봤어요.

아래 정보들은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이철민 교수님의 강의 영상을 기반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참고로, 이철민 교수님은,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가정의학과 교수로, 건강증진, 금연, 예방의학 분야에서 열심히 외부 활동도 하고 계세요.

1. 성인 예방 접종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

어린 시절 맞았던 백신의 효과가 시간이 지나면서 약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점차 초고령화 시대로 돌입하고 있고, 만성질환자 및 면역저하자의 증가, 해외여행 증가, 새로운 감염병(코로나19 등) 출현 등으로 성인 예방 접종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것이죠.


예방접종은 감염병 예방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본인뿐 아니라 가족과 사회 전체의 건강을 지키는 데 중요합니다.

2. 성인에게 권장되는 주요 백신


  •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매년 가을철 접종 권장. 65세 이상에서는 사망 예방 효과가 커서 반드시 접종 필요. 특히 65세 이상은 독감 백신이 무료로 지원도 되기에, 미리 주로 내원하는 내과를 방문해서 맞는 것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Tdap) 백신: 일정 간격으로 추가 접종 필요.
  • 폐렴구균 백신: 65세 이상에서 15가 단백결합 백신(PPV15) 접종 후 1년 뒤 23가 다당 백신(PPV23) 접종 권장. 상황에 따라 23가 백신만 접종도 가능.
  • A형 간염, B형 간염 백신: 항체가 없는 경우 접종 필요한데요, 건강검진 시, A/B형 간염 백신을 보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으니 꼭 검진 결과를 확인하고 백신 접종 여부를 확인하세요.
  • 자궁경부암(HPV) 백신: 15세 이전 접종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성인도 접종 가능. 단, 접종만으로 100% 예방은 안 되므로 정기 검진 병행 필요.
  • 대상포진 백신: 50세 이상 성인에서 권장. 과거 대상포진을 앓았더라도 접종 권장. 대상포진 원인 알기 [클릭] 제가 이전에 작성한, 대상포진 원인과 관리에 대해서도 한번 확인해 보세요.

​3. 예방 접종에 대한 Q&A 요약


  • 대부분의 백신은 동시에 접종 가능. 단, 생백신은 4주 간격으로 맞는 것을 추천한다고 합니다. 즉, 백신별로 한번에 맞는 것 보다 내과를 방문해서 리스트별로 접종 필요성과 시기를 체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폐렴구균 폐렴을 앓은 적이 있어도 백신 접종 필요(면역이 평생 지속되지 않음)합니다.
  •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후에도 감염될 수 있지만, 중증 및 사망 예방 효과가 매우 큽니다. 매년 접종하는 것을 일상화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B형 간염 항체가 과거 양성이었어도 재검에서 음성 나올 수 있다고 합니다. 꾸준한 검사는 필요합니다.
  • HPV 백신을 맞아도 자궁경부암 검진은 계속 받아야 합니다.
  • 대상포진을 앓은 후에도 백신 접종 가능(특히 면역저하자에서 권장).

혹시, 내가 예방접종 여부가 확실하지 않다면? 내과에서 확인하고 접종 상담을 받으세요!!



댓글 4
답글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