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는 아이콜리

안녕하세요~

​바로 직전 글에서 제가 요즘 매일 하고 있는 만보 이상 걷고 뛰기 v-log를 공유하고 있는데요.

요즘 정말 한강 공원이나 집 근처 올림픽공원에만 나가도 조깅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모임도 많더라고요. 저는 지난번 올팍 러닝하다 방송인 션을 만났답니다. (말 한마리가 뛰어가는 모습이 오버랩...) 👀👀👀

보다보면.. 저를 포함해서, 욕심을 내서 과하게 조깅을 시작하는 분들이 더러 있어 보입니다.

오늘은 조깅을 처음 시작하는 분들께 드리는 시작하는 마음자세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저는 단거리 운동 선수를 약 5년 정도 학생 때 했었는데요... 그렇다보니 5km~10km 정도의 중거리 달리기는 정말 배우면서 했었어야 했답니다.

조깅 시작하면서,

저도 조깅을 시작한 지 몇 년 되지 않았지만, 이왕 운동하는 거 건강하게 오래 즐기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알아봤어요. 혹시라도 저처럼 조깅이나 마라톤에 관심 있는 분들이 있다면 도움이 될까 해서 공유해 보려고요.

조깅이나 마라톤을 하면 건강에도 좋고, 성취감도 느낄 수 있어서 참 매력적인 운동이잖아요. 그런데 너무 무리해서 달리면 오히려 심장 건강에 해로울 수도 있다고 해요. 그리고 장기적으로 유지하기에는 절대 도움이 되지 못해요.

실제로 국내 연구에서 40~50대 남성 마라톤 동호인들을 5년간 추적 조사했는데,

거의 모든 참가자가 심혈관이나 뇌혈관 질환 위험이 높은 운동 강도를 유지하고 있었대요. 특히, 일부는 심각한 부정맥까지 발견됐다고 하더라고요. 과유불급!

​조깅을 잘 못 시작하면 오히려 독

마라톤처럼 장시간 달리면 우리 몸이 더 많은 산소를 필요로 하면서 혈액순환이 엄청 활발해지는데,

이 과정에서 심장이 커질 수도 있대요. 보통은 잠깐 운동하면 다시 원래 크기로 돌아오지만,

너무 오랜 시간 과하게 달리면 심장이 수축하지 않은 채 딱딱하게 굳어버릴 위험이 있다고 해요.

그래서 마라톤 중에 갑작스럽게 쓰러지는 경우도 이런 이유 때문이라고 하더라고요.

특히 중년이 되면 심장 근육의 탄력도 떨어지기 때문에 더 조심해야 한대요. 그래서 무작정 '더 빨리, 더 오래' 뛰는 것보다는 내 몸 상태를 먼저 파악하는 게 중요하대요.

​러닝 전 충분히 무릎, 발목, 고관절들을 스트레칭해주고 긴장을 주는 반복 준비운동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너무 기록에 욕심내지 말고, 숨이 차지 않을 정도로 천천히 뛰는 게 가장 좋대요. 구체적으로는 1km를 7분 정도 속도로 달리는 게 적당합니다.

그러니까 처음부터 무리하지 말고, 내 몸이 적응할 수 있도록 천천히, 꾸준하게 즐기는 게 가장 중요한 것 같아요!

저도 이제 어찌보면... 초급이라고 할 수 있어서, 위에 팁들이 정말 초보 러너에게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댓글 2
답글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