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는 아이콜리

임산부는 태아 때문에 몸이 아파도 아무 약이나 함부로 먹을 수 없잖아요.

감기도 예외는 아닐 텐데, 그렇다면 임산부는 감기약을 먹을 수 있을까요?

감기에 걸려도 꾹 참고, 나을때까지 버텨야 하는 걸까요?

​✅ 임신 중 감기약, 무조건 금지?

반드시 그렇진 않다고 합니다!

- 임신 주수(초기·중기·후기)에 따라 복용 가능한 약이 다르고, 의사의 처방을 받으면 상대적으로 안전한 약을 선택할 수 있어요.

- 임신 초기 (1~12주): 태아의 주요 장기가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가능한 약물 복용은 피하고, 증상이 심하면 반드시 전문의 상담 후 복용

- 임신 중기 이후: 복용 가능한 약의 범위가 조금 넓어지지만 여전히 의사 상담 후에만 복용해야 해요.


✅ 상대적으로 임산부에게 안전하다고 알려진 약

-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열, 통증 완화용.

대부분의 산부인과에서 안전하다고 판단하는 약물 중 하나.

- 항히스타민제(일부): 코막힘 등 감기 증상에 사용되지만 반드시 복용 시기와 성분 확인 필요

- 기침 시럽류, 생약 성분 약: 복용 전 반드시 전문가 상담 필요


⚠️ 주의! 임산부는 아래 약들은 피해야 해요!

-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태아의 기형 위험 또는 조산 위험이 있어요.

- 복합(종합) 감기약: 여러 성분이 혼합되어 있어 위험 가능성이 있대요.

- 한방 감기약: 독성 여부 때문에 전문가 확인 없이 복용 금지!

이렇게 알아보고 나니 임산부들은 감기에 걸려도 약을 먹기가 쉽지 않겠어요.ㅠㅠ

주의해야할 사항들이 많네요.

​✅ 임산부가 약 없이 감기 회복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은?

- 따뜻한 유자차, 생강차, 도라지차 등으로 수분 보충

- 실내 온도/습도 적절히 유지하기 (가습기 활용)

- 충분히 쉬고, 몸을 따뜻하게 만들기

-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거나, 코세척/소금물 가글 등도 도움

​임산부라고 해서 무조건 약을 피해야 하는 건 아니지만, 약 복용에 여러 제약사항이 붙긴 하네요.

중요한 건 혼자 판단하지 않고, 꼭 산부인과나 내과 전문의 상담을 받아보세요.

그리고 감기 증상이 오래 가거나 고열이 있다면 참지 말고 병원에 가보는 걸 추천드려요.

👉 약 복용 여부나 복용 가능한 약 종류는 개인의 건강 상태와 임신 주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후 결정하세요.





댓글 0
답글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