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간호사엄마의 건강 정보와 꿀팁 공유하는 육아과 우리쌤입니다.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야외 활동이 많아졌죠? 꽃이 피면 반갑지만 저희 아이들이 걱정하는 것이 있는데 바로 벌이에요.
벌에 쏘이는 일은 생각보다 흔한데요. 오늘은 벌에 쏘였을때 응급처치 방법과 함께 병원 가야할까 고민하실 분들께 도움이 될 글을 작성해볼게요.
벌에 쏘였을 때 대부분 따끔한 통증과 함께 부어오르기 시작해요. 대부분 국소적 반응으로 지나가지만 일부 사람들은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인 '아나필락시스'라고 부르는 전신 과민반응이 일어날 수 있어요.
아나필락시스 증상은 대부분 30분~ 1시간 이내에 발생하며 두드러기, 가려움, 호흡곤란, 입술이나 목젖 부종, 두통, 어지러움, 오심, 구토와 함께 의식저하까지 올 수 있기 때문에 곧바로 병원에 방문하여 응급처치를 받아야 합니다.
벌에 쏘였을때 응급처치로 우선, 벌침이 박혀있는지 확인해요. 꿀벌에게 쏘였을 경우 침이 남아있는 경우가 많아요.
손이나 핀셋을 이용하면 벌침을 짜서 벌 독이 몸 안으로 흡수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므로, 신용카드 같은 도구를 이용해 벌침이 박힌 방향으로 살살 밀어내듯 긁어서 벌침을 제거해 주세요. (피부 표면과 평행하게)
보건교사 근무하는 동안 벌에 쏘인 학생이 와서 신용카드로 벌침 제거해 보았는데 저도 처음이었지만 어렵지 않게 제거할 수 있었어요.
그리고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씻고, 냉찜질을 하여 통증과 붓기를 줄여주며 경과를 관찰해요. 벌에 쏘였을때 응급처치 후 국소적인 반응만 나타나면 연고를 바를 수 있고 그 외 사용할 수 있는 약도 몇 가지 알려드릴게요.
- 두드러기, 가려움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거나, 벌레물린데 바르는 약을 바르면 도움이 될 수 있어요. 또는 스테로이드 연고 사용으로 과도한 면역반응을 억제하여 염증 및 가려움을 가라앉힐 수 있어요.
- 후시딘은 항생제 연고로 긁어서 상처가 났거나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지만 가려움 증상 완화에는 도움되지 않아요.
- 통증 및 염증 조절을 위해 소염진통제를 복용하기도 합니다.
그럼 벌에 쏘였을 때 언제 병원에 가야할까요?
우선, 말벌에 쏘인 경우라면 병원에 가는 것이 좋아요.
➡️ 벌 종류에 관계없이 벌에 쏘인 후
✔️쏘인 부위가 계속 붓고 열감이 있거나
✔️입술 등 얼굴이 부어 오르거나
✔️숨이 차거나 가슴이 답답할 때
✔️구토, 설사 등 소화기 증상이 나타날 때
✔️어지럽거나 실신할 것 같을 때
아나필락시스는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응급상황이기 때문에 이 중 한 가지라도 해당된다면 가까운 응급실에 방문해야 해요.
지금까지 벌에 쏘였을 때 응급처치와 사용할 수 있는 약과 함께 대처방법 알려드렸어요.
벌에 쏘였을 때 응급처치 요약하자면,
침 제거 ➡️ 세척 ➡️ 냉찜질 후➡️ 증상 관찰, 필요시 약 사용 또는 심각한 증상 나타날 시 즉시 병원에 방문하기
무엇보다 벌에 쏘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겠죠?
벌에 쏘이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어두운 옷보다 밝은 계열의 옷 입고, 향수나 향이 진한 화장품 사용 자제하고, 야외활동 갈 때는 벌레 퇴치제와 아이스팩, 상비약을 챙기는 것이 좋아요.
갑자기 벌 쏘였을 때 대처에 도음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의 글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