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건강 지식 포스팅으로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양성 대장염(ulcerative colitis, UC)과 크론병(Crohn’s disease, CD)은 모두 염증성 장질환(IBD, Inflammatory Bowel Disease)에 속하지만, 염증이 발생하는 위치, 범위, 형태 등에서 뚜렷한 차이가 있습니다. 아래에 구조적·임상적 차이를 중심으로 상세히 비교해드릴게요.
1. 염증 발생 부위
- 궤양성 대장염 (UC) : 침범 부위 - 대장(결장)만 침범, 주 병변 위치 - 직장부터 시작해 대장으로 연속적으로 진행
- 크론병 (CD) : 침범 부위 - 입부터 항문까지 소화관 전체 가능, 주 병변 위치 - 회장 말단(ileum) 가장 흔함, 건너뛰기 병변(skip lesions)
2. 염증 범위 및 깊이
- 궤양성 대장염 : 염증 범위 - 점막(mucosa) 및 점막하층까지만, 병변 패턴 - 연속적
- 크론병 : 염증 범위 - 전층(transmural) 염증 - 장벽 전체 침범, 병변 패턴 - 비연속적(건너뛰기 병변)
3. 병리학적 특징
- 궤양성 대장염 : 궤양 형태 - 얕은 궤양, 표면성 염증, 조직 소견 - 크립트 농양, 연속적인 점막 염증
- 크론병 : 궤양 형태 - 깊은 궤양, 협착(stricture), 누공(fistula) 가능, 조직 소견 - 육아종(granuloma), 장벽비후, 누공 흔함
4. 임상 증상 비교
- 궤양성 대장염 : 혈변 - 매우 흔함, 설사, 복통 - 있음 (주로 하복부), 체중 감소 - 경증~중증, 항문 질환 - 드묾
- 크론병 : 혈변 - 비교적 드묾, 설사, 복통 - 자주 발생 (회장 병변 시 우하복부 통증), 체중 감소 - 더 흔하고 심함, 항문 질환 - 항문 누공, 치루 등 매우 흔함
5. 합병증 및 위험
- 궤양성 대장염 : 장 천공 - 드묾, 대장암 위험 - 장기 경과 시 상승, 흡수장애 - 드묾
- 크론병 : 장 천공 - 가능 (전층 침범 때문), 대장암 위험 - 대장 병변이 있는 경우 증가, 흡수장애 - 회장 병변 시 비타민 B12, 지방 흡수장애
6. 진단 검사에서의 차이
- 궤양성 대장염 : 대장내시경 - 직장에서 시작해 연속적인 염증, 영상검사 (CT/MRI) - 대장 중심, 조직검사 - 표층 염증, 크립트 구조 이상
- 크론병 : 대장내시경 - 패치성 병변, 항문 병변까지 확인, 영상검사 (CT/MRI) - 소장 포함해 장벽비후, 누공 등 확인, 조직검사 - 육아종 등 장벽 전층 염증 소견
7. 치료 방향 차이
- 궤양성 대장염: 대장 절제술로 사실상 완치 가능
- 크론병: 수술은 증상 완화를 위한 것이며, 재발률 높음
오늘은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 비슷하지만 다른 차이를 가지고 있는 부분에 대한 것들 알고 계시면 건강한 삶이 한 발짝 가까워 질 것 같아요. 그럼 다음 포스팅 기대해주시고 다음에 또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