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는 아이콜리

안녕하세요 오늘도 건강 지식 포스팅으로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강직성 척추염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약물 치료 (Pharmacological Treatment)

1)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1. 가장 1차적인 치료제로 통증, 염증, 강직 완화에 효과적입니다.
  2. 예시: Naproxen, Ibuprofen, Diclofenac, Celecoxib
  3. 장기간 복용 시 위장 장애나 신장 기능 저하 등의 부작용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2) 생물학적 제제 (Biologics)

  1. NSAIDs로 조절되지 않는 중등도~중증 환자에서 사용.


  1. TNF-α 억제제: 염증 유발 물질인 종양괴사인자(TNF)를 차단
예시: Etanercept, Infliximab, Adalimumab, Golimumab​


  1. IL-17 억제제: IL-17 사이토카인을 억제하여 염증 감소
예시: Secukinumab, Ixekizumab


  1. 생물학제제는 염증 조절, 기능 향상, 척추 손상 지연에 효과적이며, 포도막염 예방에도 도움이 됩니다.


3) DMARDs (질병 조절 항류마티스 약물)

  1. 말초 관절(무릎, 발목 등)에 염증이 동반된 경우 사용됩니다.
  2. 예시: Sulfasalazine, Methotrexate
척추 병변에는 효과가 제한적입니다.


4) 코르티코스테로이드 (Steroids)

  1. 전신 투여보다는 관절강 내 주사 형태로 제한적으로 사용.
  2. 장기 복용은 부작용 위험이 높기 때문에 가급적 피합니다.


2. 비약물 치료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1) 운동 요법 (Exercise Therapy)

  1. 가장 중요한 비약물 치료 중 하나이며, 척추의 유연성과 운동 범위 유지에 매우 중요합니다.
  2. 스트레칭, 자세 교정, 흉곽 확장 운동, 수영, 요가 등 권장.
  3. 매일 꾸준히 운동하는 것이 척추 강직을 예방하고 기능 유지에 효과적입니다.

2) 물리치료 (Physical Therapy)

  1. 통증 완화와 관절 기능 향상을 위한 전문적 재활치료.
  2. 온열 치료, 자세 교정, 호흡 훈련 등이 포함됩니다.


3) 자세 관리와 생활 습관 개선

  1. 구부정한 자세를 방지하고 올바른 자세 유지가 중요합니다.
  2. 단단한 침대, 등받이 있는 의자, 서 있을 때 똑바로 등 척추 변형을 예방하는 생활 습관이 필요합니다.


4) 금연과 스트레스 관리

  1. 흡연은 질병 악화 및 생물학적 제제 효과 감소와 연관 있으므로 금연이 필수입니다.
  2. 스트레스는 면역 기능과 염증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심리적 관리도 중요합니다.


​기타 치료

  1. 정형외과 수술: 드물지만, 척추 변형이 심하거나 관절 기능이 상실될 경우 시행할 수 있습니다.
인공 관절 치환술(엉덩이, 무릎 등)
척추 유합술 등


요약


  1. NSAIDs : 통증 및 염증 완화의 1차 치료
  2. 생물학적 제제 : 중증 환자에서 염증 조절 및 척추 손상 억제
  3. 운동/물리치료 : 유연성 유지, 기능 향상, 변형 예방에 핵심
  4. 자세 관리 : 바른 자세로 척추 변형 예방
  5. 수술 : 극심한 변형이나 관절 손상 시 고려


강직성 척추염은 약물 치료만으로는 완전한 해결이 어렵고, 운동과 자세 관리가 매우 중요한 질환입니다. 따라서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약물 복용과 운동을 병행하고, 자세 교정 및 금연, 스트레스 관리 등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입니다.

​오늘은 강직성 척추염 치료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치료법 만으로 완전한 해결이 어렵다는 사실 잊지 말았으면 합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 기대해주시고 다음에 또 만나요^^

댓글 0
답글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