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는 아이콜리

​​오늘은 노인성 황반변성 진단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노인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진단 방법

1. Visual Acuity Test (시력 검사)

설명: 시력 측정표를 사용해 중심 시력(central vision)이 저하되었는지를 평가합니다. 일반적인 안과 시력검사를 통해 독서 능력이나 원거리 시력 저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초기 AMD에서는 중심 시력이 미세하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2. Amsler Grid Test (암슬러 격자 검사)

설명: 격자무늬(Amsler grid)를 보면서 직선이 굽어 보이거나, 빈칸이 보이는지를 확인합니다. 중심 시야의 변형(distortion)이나 암점(scotoma)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간단한 자가검사 방법입니다. 병원에서도 정식으로 검사합니다.


3. Dilated Fundus Examination (산동 후 안저 검사)

설명: 산동제(dilating drops)를 사용해 동공을 확장시킨 후 망막과 황반을 직접 관찰합니다. 의사가 안저검사를 통해 drusen(드루젠, 노폐물 침착) 유무, 황반의 위축(atrophy), 출혈이나 부종 여부를 확인합니다. AMD의 가장 기본적인 진단 방법입니다.


4.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빛간섭단층촬영)

설명: 비접촉 방식으로 망막의 단면 이미지를 촬영해 황반 부위의 구조 변화를 고해상도로 분석합니다. 건성 AMD에서는 황반 위축을, 습성 AMD에서는 신생혈관에 의한 부종이나 출혈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AMD 진단과 경과 관찰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5. Fundus Fluorescein Angiography (FFA, 안저 형광혈관조영술)

설명: 형광색소(Fluorescein)를 정맥 주사한 후 망막 혈관을 촬영해 비정상 신생혈관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특히 습성(wet) AMD에서 비정상 혈관의 위치, 크기, 누출 여부를 상세히 평가할 때 사용합니다.


6. Indocyanine Green Angiography (ICGA, 인도시아닌그린 혈관조영술)

설명: Indocyanine Green 색소를 이용해 맥락막(choroid) 혈관을 보다 명확히 관찰하는 검사입니다. 특히 맥락막 신생혈관(CNV)이 의심될 때, 또는 FFA로는 명확히 보이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요약 (Summary)


시력 검사 : 중심 시력 저하 평가

암슬러 격자 검사 : 시야 왜곡, 암점 조기 발견

산동 후 안저 검사 : drusen, 위축, 출혈 확인

OCT (빛간섭단층촬영) : 망막 구조 분석, 부종/위축 관찰

FFA (형광혈관조영술) : 신생혈관, 혈관 누출 평가

ICGA (인도시아닌그린조영술) : 맥락막 혈관 정밀 관찰


오늘은 노인성 황반변성의 진단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오늘 포스팅 꼭 잘 읽어 보시고, 오늘도 건강한 하루 되시기 바래요. 다음 포스팅에서 만나요^^

댓글 0
답글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