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석”… 듣기만 해도 조금 무섭고 멀게 느껴지는 단어죠.
하지만 만성신장질환이 진행되면 언젠가는 마주할 수도 있는 치료인 만큼,
미리 알고 준비해두는 게 훨씬 도움이 된답니다.
오늘은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그 차이와 진행 방식까지
투석에 대한 궁금증을 하나씩 풀어드릴게요.
막연한 불안감은 덜고, 이해와 준비를 시작해봐요 💙💉
만성신장질환이 진행되어 신장 기능이 심각하게 저하(GFR 15mL/min/1.73㎡ 미만)되면,
몸 안의 노폐물과 수분을 걸러내는 ‘투석(dialysis)’ 치료가 필요해집니다.
쉽게 말하면, 신장이 해줘야 할 일을 대신해주는 기계 치료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투석은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두 가지 방법이 있으며,
각 방법마다 생활방식, 치료 주기, 비용 등이 달라 선택할 때 충분한 상담과 준비가 필요해요.
혈액투석은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시행되는 투석 방법입니다.
✅ 어떻게 하나요?
혈관(동정맥루)을 통해 혈액을 빼내 인공신장(투석기계)으로 보내어,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걸러낸 뒤 깨끗해진 혈액을 몸에 다시 주입합니다.
✅ 특징
✅ 장단점
복막투석은 스스로 집에서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 어떻게 하나요?
복부에 설치된 카테터를 통해 투석액을 복강(배 안)에 주입한 후,
복막을 통해 노폐물과 수분을 걸러낸 뒤 다시 빼내는 방식입니다.
✅ 특징
✅ 장단점
혈액투석과 복막투석 모두 장단점이 뚜렷하기 때문에 환자의 신체 상태, 생활패턴, 선호도, 가정환경 등을 종합해 결정해야 합니다.
☑️선택 기준 예시:
📌 참고: 모든 환자에게 선택권이 주어지는 것은 아니예요.
혈관 상태, 복막 상태 등 신체 조건에 따라 투석 방법이 제한될 수도 있어요.
‘투석 시작’이라는 말을 들으면 누구나 불안해질 수 있어요.
하지만 투석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삶을 이어가기 위한 선택’입니다.
자신에게 맞는 투석 방법을 이해하고, 꾸준히 관리한다면
투석 중에도 충분히 일상생활, 여행, 취미활동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포기하지 않는 것, 그리고 나에게 가장 잘 맞는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입니다!
🔗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