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콜록콜리입니다.
지난 글에서 그레이브스병은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자가면역질환이라고 설명드렸는데요,
이는 정상적인 갑상선이 과도하게 자극을 받아 갑상선 호르몬을 필요 이상으로 분비하게 만드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질환이 왜 생기는지, 어떤 요인들이 작용하는지 과학적 근거를 중심으로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그레이브스병은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갑상선을 공격하여,
정상적인 조절 없이 갑상선 호르몬을 과잉 생성하도록 유도하는 질환입니다.
갑상선자극항체(TSI)가 갑상선자극호르몬(TSH) 수용체를 흉내 내며 지속적으로 자극을 가하는 것이 핵심 메커니즘입니다.
▶ 1. 자가면역 반응 이상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면역계의 오작동입니다.
정상이라면 외부 병원체만 공격해야 할 면역세포가,
오히려 우리 몸의 일부(갑상선 수용체)를 ‘적’으로 오인하고 공격합니다.
이때 생성되는 TSI(Thyroid-Stimulating Immunoglobulin)가 갑상선을 계속 자극하게 됩니다.
▶ 2. 유전적 요인
그레이브스병은 가족력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HLA-DR3, CTLA-4 등의 유전적 다형성이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촌 가족 중에 자가면역질환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높아집니다.
▶ 3. 환경적 요인
다음과 같은 외부 환경이 면역 반응 이상을 유발하거나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여성의 발병률이 남성보다 약 5~10배 높으며,
주로 20~40대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이는 호르몬 변화가 면역체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추정되며,
임신과 출산, 폐경 등 생애 주기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현대사회에서 스트레스, 과도한 요오드 섭취, 환경오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강검진과 의료 접근성이 좋아지면서 조기 진단율이 높아진 것도 증가 원인 중 하나입니다.
아쉽게도 유전적 요인이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완전한 예방은 어렵습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생활관리를 통해 발현 가능성을 낮출 수 있습니다
그레이브스병은 단순한 '호르몬 이상'이 아니라,
면역 체계 전반의 불균형이 만들어내는 결과입니다.
원인을 정확히 이해하고 나면, 조기 진단과 치료에 더 빨리 다가갈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함께, 갑상선 건강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