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콜록콜리입니다.
지난 글처럼 파킨슨병에 대해 정보를 공유드리고있는데요
계속 파킨슨, 파킨슨하다보니 파킹슨인지, 파킨승인지... 게슈탈트붕괴현상이...
완치가 어려운 질병임에 대해 계속 이야기를 하면서 조기발견과 치료의 중요성에 대해 말씀드렸습니다.
그렇다면 진단받으면 방법이 없는건지...! 낙담하시는 분들고 계실듯해서
오늘은 파킨슨병의 치료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 레보도파(Levodopa)
도파민을 보충해주는 대표적인 약물이에요.
뇌에서 도파민으로 전환되어 움직임 관련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요.
+장기 복용 시 운동 합병증(운동 변동성, 이상운동증)이 생길 수 있어 용량 조절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2) 도파민 작용제(Dopamine agonist)
도파민 수용체에 직접 작용해 도파민처럼 효과를 내는 약이에요.
레보도파보다 부작용은 적지만, 환각, 충동조절장애가 생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해요.
3) MAO-B 억제제 / COMT 억제제
도파민을 분해하는 효소를 억제해 도파민 효과를 오래 지속시키는 역할을 해요.
단독 또는 레보도파와 병용 투여돼요.
4) 항콜린제, 아만타딘
떨림, 이상운동증 조절에 보조적으로 사용돼요.
특히 고령에서는 인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 신중히 사용해야 해요.
심부뇌자극술(Deep Brain Stimulation, DBS)
뇌의 특정 부위에 전극을 삽입해 전기 자극을 주어 운동 증상을 완화시키는 치료예요.
특히 약물 효과가 불안정하거나 부작용이 심한 환자에게 효과적이에요.
수술 후에도 약물은 대부분 병행하게 되며, 뇌 자극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요.
*단점
1) 물리치료 및 재활 운동
파킨슨병으로 인한 근육 경직, 보행 문제, 균형감각 저하를 개선하는 데 꼭 필요해요.
체조, 스트레칭, 자세 교정 운동은 근력과 유연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줘요.
2) 언어치료 및 삼킴 재활
목소리가 작아지고 발음이 뚜렷하지 않게 되거나, 연하곤란이 생기면 전문 언어치료가 필요해요.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한 삼킴 훈련도 병행해야 해요.
3) 심리 상담 및 인지 치료
파킨슨병 환자의 40% 이상이 우울감이나 불안을 경험해요.
필요 시 정신건강의학과 치료 또는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아요.
> 현재는 연구 단계 또는 제한적 임상 적용 중이지만, 향후 파킨슨병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합니다.
결국 파킨슨병은 ‘잘 관리하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질환입니다.
완치는 어렵지만, 치료 옵션이 풍부하고 효과적인 약물과 재활치료가 발달해 있고 최신 치료법과 연구동향도 지속적으로 발전 중이라고 합니다.
결국 중요한 건 환자마다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전문의와 함께 본인에게 맞는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꾸준히 실천하는 것 아닐까요?
다음 글에서는 초기 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조기 발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기재해보겠습니다 🕶️
돌아오기 전까지 다른 글이 궁금하시다면 👉 파킨슨병 대표 증상 👈에 대해 읽어주세요! 🔖